본문 바로가기
정보/정보세상

중증 근무력증 코로나 백신

by NBB Corp 2021. 12. 12.
반응형

근무력증 코로나 백신 접종

중증 근무력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코로나 백신 맞기를 힘들어합니다 이유는 코로나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 구조 이기 때문입니다 중증 근무력증 힘을 쓰면 근력이 빠지는 병입니다 주사 한 대 맞고 약 먹고 바로 호전이 되질 않습니다 심한 사람들은 평생 약을 먹어야 하기도 하고 더 심한 사람들은 수술을 통해서 완쾌되는 경우도 있고 코로나 바이러스와 밀접한 관계라 생각할 수 있지만 중증 근무력증을 가진 사람들은 웬만하면 백신을 접종하는 편입니다. 병원에서도 맞으라고 권고합니다 밀접한 관계가 없다고 하네요

1차 접종할 때 오전에 먹는 스테로이드가 반응을 하여 백신 접종을 거부하였습니다

다시 잔여백신을 찾아 맞으러 갔더니 긴가민가 하더라는 접종을 하지 말라는 공지는 없다며 한번 맞아 보는 건 어떨까 하신다 주치의도 접종을 해도 괜찮다고 했다

백신 접종 후

그렇게 모더나로 접종 접종하고 3일은 쉬라고 했는데 3일간 몸 이상반응은 정말 날라 갈 것 같은 느낌 안 아팠던 시절로 돌아간 것 같은 엄청난 컨디션으로 최고점을 찍었다 약 일주일 정도 흘렀을까 급 힘이 빠지기 시작함 그렇게 3주를 고생하고 나니 조금씩 좋아지기 시작했지만 다시 2차를 접종 사실 두려웠다 맞아야 할까 말까를 수십 번 생각했지만 그건 아닌 거 같아서 접종을 했다. 1차 때 보다 반응이 없습니다 아팠나 하는 것처럼 지나간 세월처럼 되었습니다 그러고 다시 주치의를 찾았습니다 힘이 빠진 건 사실이다 스테로이드 강도를 낮췄던걸 다시 3배로 증가시켰다 그랬더니 백신 맞기 전으로 돌아간 느낌이다 이상반응은 밥맛이 없다 잘된 일이지 밥맛이 없다는 건 살이 빠진다는 누군 다이어트를 돈 주고 한다는데 다행히 밥맛이 없어서 점점 줄어드는 뱃살을 보면서 나름 흐뭇해하고 있다

그렇게 1차, 2차 모더나를 맞고 담당 주치의를 만나 상담을 하니 한 달만 더 강하게 약물치료로 진행 중입니다

중증 근무력증 이란 (출처 : 서울아산병원 자료 첨부)


정의
중증 근무력증은 신경의 자극이 근육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면서 근육이 쉽게 피로해지는 질환입니다. 신경근 접합부 후 시냅스 막의 형태 변화와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수의 감소가 나타납니다. 이는 자가 항체에 의한 항원-항체 반응의 결과라고 여겨집니다. 유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6~10명으로, 여성에게 잘 발생합니다.

원인
신경의 자극이 신경 말단부에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이라는 화학물질을 배출합니다. 이 화학물질이 근막 종판에 위치하는 아세틸콜린 수용체(AchR)와 결합하면서 근섬유가 활성화됩니다. 그 결과 근수축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중증 근무력증에서는 아세틸콜린 수용체(AchR)에 대한 자기 항체가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기능을 차단하거나 형태를 변형 혹은 파괴함으로써 근수축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항체는 원래 외부에서 유입된 유기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 기전입니다. 하지만 중증 근무력증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에서는 신체 일부를 마치 외부 유기물처럼 오인하여 자기 항체가 생성됩니다. 자기 항체가 나타나는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증상
중증 근무력증의 가장 흔한 초기 증상은 안검하수와 가벼운 안구 운동 장애입니다. 환자는 복시를 호소하거나 손가락으로 자주 눈꺼풀을 밀어 올리는 행위를 합니다. 이밖에도 말을 하려고 하는데 발음이 정확하지 않거나 음식을 삼킬 때 잘 넘어가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고, 얼굴 근육이 약화되며 피로함을 쉽게 호소합니다. 심하게는 전신의 골격근이 침범당하여 팔다리의 힘이 빠지면서 잘 넘어지는 근력 저하가 나타납니다. 호흡 곤란, 호흡근 마비와 같은 치명적인 증상이 발현되기도 합니다.

 



진단
'중증 근무력증에서 나타나는 근력 약화는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이 많습니다. 증상이 경미하거나 근무력이 일부 근육에만 국한되면 다른 질환으로 오진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중증 근무력증의 진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세한 병력과 정확한 진찰입니다. 중증 근무력증의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병력은 다른 증상 없이 근력 약화만 나타나면서도 근력 약화가 일정하지 않고 기복을 보이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아침에는 증상이 없거나 경미하다가 오후가 되면서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면을 취하거나 푹 쉬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호전됩니다. 중증 근무력증에서 가장 흔한 증상은 물건이 둘로 보이는 복시와 눈꺼풀이 쳐지는 안검하수입니다. 이 밖에도 여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근력 약화의 부위는 진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은 근력 약화와 피로함의 증상을 혼동합니다. 둘의 의미는 다르므로, 실제 근력이 약화되었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진찰 과정에서는 일정 운동을 반복하거나 지속할 때 근력이 점차 약해진다는 사실을 확인해야 합니다. 가장 흔히 시행하는 진찰은 위로 계속 쳐다보게 하는 것입니다. 1분 이내에 눈꺼풀이 떨어지면서 복시가 나타나면 중증 근무력증으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병력이나 진찰을 통해 중증 근무력증이 의심된다면, 항콜린 에스테라제 약물 투여 검사,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혈청 항체의 측정, 전기생리학적 검사 등 여러 검사를 시행하여 확진합니다.


치료
중증 근무력증의 치료 방법에는 약물 요법(항콜린 에스테라제, 부신피질 호르몬제, 기타 면역 억제제), 흉선 절제술, 방사선 조사, 혈장 교환술 등이 있습니다.


경과
과거에는 중증 근무력증으로 인해 사망하는 환자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적절한 치료 약물이 개발되면서 현재 환자 대부분은 정상 생활이 가능합니다. 다만 중증 근무력증은 전신적인 질환이나 수술로 인해 갑작스럽게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일부 환자는 스테로이드 및 면역 억제제를 장기간 복용해야 합니다. 치료 약물에 의한 부작용을 주의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